
무주는 전라북도 동북부에 위치하엿고 덕유산 국립공원과 반디랜드 등으로 잘 알려진 자연관광지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무주의 자연만큼이나 ‘무주라는 지명에 담긴 역사와 의미’에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무주’라는 이름은 언제부터 시작됐고, 어떤 배경에서 붙여졌을까요? 이 글에서는 무주의 지명 어원, 옛 이름들, 문헌 속 기록을 바탕으로 무주의 정체성과 지명의 역사적 흐름을 알아봅니다. 그리고 지금 이 시기에 무주를 찾는다면 꼭 한 번 맛보아야 할 대표 인기 메뉴들과, 지금 떠나기 딱 좋은 무주 가을 대표 명소를 세 가지 테마로 나누어 소개합니다.
무주 지명의 역사
‘무주(茂朱)’라는 이름을 처음 들으면, 흔히 ‘없을 無(無)’자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무주의 한자는 ‘무성할 茂(무)’, ‘붉을 朱(주)’로, 그 의미는 매우 긍정적입니다. 즉, 무성하게 자라고 붉은 기운이 감도는 땅, 또는 자연과 기운이 풍부한 곳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무주는 본래 백제시대에는 ‘무풍현(茂豐縣)’으로 불렸으며, 고려시대에는 ‘무풍군’, 이후 조선시대에도 ‘무풍현’ 또는 ‘무풍군’이라는 명칭이 계속 사용되었습니다. ‘주(朱)’로 바뀐 것은 조선 중기 이후, 행정 구역 개편과 함께 군에서 주로 승격되면서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주(州)’는 큰 고을이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지역에 붙는 명칭으로, 무주가 전북 동부 지역에서 중요한 행정·교통 거점으로 발전한 흐름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오늘날의 ‘무주’는 ‘없다’는 의미와는 전혀 관계가 없으며, 오히려 풍요롭고 번성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긍정적인 지명입니다. 무주의 지명은 한 번에 정해진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시대별로 변화를 겪었습니다. 가장 이른 기록은 삼국시대 백제의 ‘무풍현’으로, 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등에 등장합니다. 무풍현은 당시 백제의 동북부 국경 지역으로, 군사적·지리적으로 중요한 위치였습니다.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에도 ‘무풍현’이라는 이름을 유지했고, 고려시대에는 ‘무풍군’으로 승격되며 독립된 행정 단위로 확립됩니다. 조선시대에는 ‘무풍현’과 ‘무풍도호부’ 등의 명칭으로 불리다, 조선 후기 행정개편에서 ‘무주’라는 이름이 등장합니다. 특히 1895년(고종 32년) 갑오개혁과 1896년의 13도제 개편을 통해 전라북도에 속하게 되며, ‘무주군’이라는 현대적 행정명칭이 확정됩니다. 무주에 대한 인식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헌에 기록되어 있으며, 특히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등 조선시대 지리서에 풍부하게 등장합니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무풍현(무주 지역)이 산림이 울창하고 하천이 깨끗하며, 곡식과 약초가 잘 자라는 고장으로 설명됩니다. 이는 ‘茂(무)’의 의미인 ‘무성하다’, ‘풍성하다’와 직접 연결되며, 지명 어원의 타당성을 뒷받침합니다. 『동국여지승람』에서는 무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언급됩니다. 무주는 내륙 산악지대에 위치하지만, 호남과 영남을 잇는 교통로인 무주~영동~금산 간 도로축상에 있었기 때문에 전략적 요지로 평가받았습니다. 또한, 『대동지지』에서는 무주의 기후, 인구, 특산물, 사찰 등도 기록되어 있는데, 특히 덕유산 인근에서 채집되는 약초, 송이버섯, 목재 자원이 풍부하다는 점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무주의 지명이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 자연, 경제, 문화, 국방 등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종합적 상징임을 보여줍니다.
향토음식 인기메뉴
덕유산 산나물로 만든 건강 밥상 - 무주를 대표하는 향토음식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산나물 정식입니다. 특히 봄부터 초여름까지 덕유산 자락에서 채취한 곰취, 참나물, 두릅, 방풍나물, 눈개승마 등 다양한 나물이 무주의 밥상을 풍성하게 만듭니다. 무주의 산나물 음식은 단순히 나물 반찬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지역 농가에서 재배하거나 직접 채취한 재료를 직접 말리고, 다듬고, 양념하는 전통 방식으로 준비됩니다. 밥상에는 산나물 무침, 장아찌, 된장국, 나물 비빔밥 등이 기본으로 차려지며, 입맛을 돋우는 청국장이나 들깨탕이 함께 제공되기도 합니다. 특히 무주군 안성면 일대는 ‘산나물 밥상 체험마을’로도 운영되고 있어, 산나물 채취 체험과 전통 밥상 시식을 함께 즐길 수 있습니다. 또한, 무주의 산나물은 유기농 인증을 받은 로컬 브랜드 상품으로 가공·판매되기도 하며, 온라인 쇼핑몰이나 지역 로컬푸드 매장에서 인기가 높습니다. 무주 어죽과 민물매운탕, 강 따라 이어지는 진한 맛 - 무주에는 크고 작은 강과 계곡이 흐르며, 특히 무주읍과 설천면 인근에는 전통적으로 민물고기를 활용한 향토 음식이 발달해 왔습니다. 그 대표적인 음식이 바로 어죽과 민물매운탕입니다. 무주 어죽은 주로 피라미, 빠가사리, 메기, 붕어 등을 푹 고아 국물을 우려내고, 그 안에 쌀과 수제비, 다진 마늘, 들깨가루, 고춧가루 등을 넣어 끓여낸 진한 국물요리입니다. 민물매운탕은 어죽보다는 국물이 맑고, 생선을 통째로 넣어 끓이기 때문에 비린 맛을 잡는 전통 손맛이 중요합니다. 현재, 무주군 주요 관광지 근처에는 전통 어죽·매운탕 전문 식당들이 많이 있으며, 특히 구천동 계곡 인근이나 무주리조트 주변에서는 여행객들의 방문 순위 상위권 메뉴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무주에서만 맛보는 묵밥, 수제청국장, 시래기 음식 - 무주의 향토음식 중에는 특별히 눈에 띄는 재래 발효음식과 저장식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묵밥, 수제 청국장, 시래기 요리 등이 있습니다. 묵밥은 도토리묵이나 메밀묵을 차갑게 썰어 넣고, 된장·고추장으로 간을 한 육수에 넣어 김치, 오이, 깻잎, 파 등을 고명으로 얹어 먹는 시원한 별미입니다. 또한, 무주 수제 청국장은 지역 농가에서 재배한 국산 콩을 사용하여 직접 띄운 것으로, 일반 시판 제품보다 냄새는 적고, 구수함과 깊은 풍미가 강한 점이 특징입니다. 겨울철 대표음식으로는 시래기 찜, 시래기 된장국이 있습니다. 무청을 말려 놓은 시래기를 삶은 후 된장 양념으로 볶거나, 고기와 함께 조려내어 푸짐한 반찬으로 제공합니다.
가을여행 추천 명소 베스트
덕유산 단풍 절정, 설천봉과 향적봉 - 무주의 가을을 대표하는 여행지는 단연 덕유산국립공원입니다. 특히 10월 말부터 11월 초까지는 덕유산의 주봉인 향적봉(1,614m) 일대가 붉고 노랗게 물들며, 전국에서 단풍을 보기 위해 많은 관광객이 찾습니다. 덕유산 단풍의 가장 큰 특징은 해발고도에 따른 색 변화입니다. 초입부에는 노란 은행잎, 중간 고도에는 붉은 단풍, 고지대에는 이미 낙엽이 진 풍경이 겹겹이 펼쳐지면서 가을 그라데이션을 만들어냅니다. 특히 곤도라를 타고 오르는 설천봉 코스는 무주리조트에서 출발해 편하게 단풍 절경을 감상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추천할 만한 가을 산행 코스입니다. 올해는 기상 조건이 좋아 단풍 절정이 예년보다 오래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어, 11월 초순까지도 아름다운 풍경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향적봉 정상에서는 남한의 대표 산맥들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가을 산행의 백미로 꼽힙니다. 무주 반딧불이천과 남대천 산책로 - 자연과 함께 조용히 걷고 싶은 여행자에게는 무주읍 중심을 가로지르는 반딧불이천과 남대천 산책로가 제격입니다. 이 일대는 무주를 대표하는 수변공간으로, 무주군이 ‘가을 정원형 도시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산책길과 벤치, 포토존 등을 새롭게 정비하였습니다. 특히 남대천 일대는 낮에는 은행나무 단풍이 터널처럼 이어지고, 해질 무렵에는 석양이 비치는 감성 산책 코스로 SNS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곳곳에는 작은 전시공간, 조각 작품, 그리고 지역 주민이 운영하는 로컬 커피 트럭과 플리마켓이 함께 있어 여행의 소소한 재미도 더해줍니다. 또한 반딧불이천은 여름철 반딧불이 생태관광지로 유명하지만, 가을에는 조용하고 낭만적인 분위기로 바뀝니다. 물길을 따라 걷는 가을 산책은 무주의 진짜 일상을 들여다보는 여행이 되며, 번화한 관광지와는 또 다른 로컬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무주 전통시장과 향토음식 골목, 지역의 맛을 걷다 - 무주의 가을은 자연뿐 아니라 시장과 밥상 위에도 가득합니다. 무주읍에 위치한 무주 전통시장은 매주 4일과 9일에 정기적으로 열리는 오일장으로, 가을철이면 산나물, 말린 나물, 햇밤, 고구마, 곶감, 제철 채소 등 지역 특산물이 가득 나옵니다. 이 시장은 단순한 판매 공간을 넘어, 지역의 정서와 사람 냄새가 살아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시장 주변에는 묵밥, 청국장, 어죽, 시래기국 등 무주의 향토음식을 파는 백반집과 식당이 밀집해 있어, 단풍 여행 후 허기를 채우기에 제격입니다. 2024년에는 무주군이 시장 환경 개선 사업을 완료하면서, 보다 깔끔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장을 보고 음식을 즐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젊은 상인들이 운영하는 전통 디저트 카페, 국산콩청국장 전문점, 산나물 한정식집 등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세대가 공존하는 맛의 거리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주의 가을은 그야말로 오감이 만족하는 계절 여행지입니다. 덕유산에서의 화려한 단풍 산행, 남대천 따라 이어지는 감성 산책, 전통시장에서 만나는 따뜻한 밥상까지… 지금 무주로 떠난다면 자연, 일상, 사람, 음식이 어우러진 진짜 여행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계절이 깊어지기 전, 마음까지 여유로워지는 무주의 가을 명소들을 직접 걸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