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은 경상남도 내륙에 위치한 고장으로, 지리산과 덕유산을 품은 천혜의 자연과 오랜 역사를 간직한 지역입니다. 오늘날 ‘함양’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지만,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그 속에 정치적·문화적·자연적 의미를 담아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함양 지명의 어원과 옛이름, 그리고 변천사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리고 함양 농산물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음식문화와, 경남 속 함양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와 여행지, 지금 떠나기 좋은 힐링 코스를 소개합니다.
함양 지명의 변천사 (옛이름, 유래, 전통)
‘함양(咸陽)’이라는 지명은 한자로 ‘함(咸)’은 ‘함께하다’, ‘풍부하다’를 뜻하고, ‘양(陽)’은 ‘햇볕이 드는 땅’, 또는 ‘산의 남쪽’을 의미합니다. 즉, 햇살이 풍부하고 자연이 넉넉한 고장이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이는 함양이 예로부터 산과 들이 넓게 펼쳐져 곡창지대로 불렸고, 동시에 지리산과 덕유산을 중심으로 산림과 수자원이 풍부했던 지역적 특성을 잘 보여줍니다. 자연환경이 지명의 뿌리에 직접적으로 반영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명학적으로 보면, ‘양(陽)’은 한반도 남부 지역의 주요 도시 이름에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풍요와 번영을 기원하는 의미를 내포합니다. 함양 역시 이러한 맥락 속에서 지명이 정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삼국시대에 함양은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었으며, 당시에는 삽량주(霅良州)의 일부로 불렸습니다. 이후 신라 경덕왕(8세기) 시기에는 전국 행정 구역 명칭을 한자식으로 정비하면서 ‘함양(咸陽)’이라는 이름이 공식화되었습니다. 고려시대에도 ‘함양’이라는 이름은 이어졌으며, 이 시기에는 군 단위 행정체계 속에서 지역적 위상을 유지했습니다. 고려 말에는 지리적으로 중요한 교통 요지로 기능하면서 지역의 이름이 여러 문헌에 기록되기 시작했습니다. 조선시대 들어서는 ‘함양군’으로 확정되었고, 오늘날까지 군 단위 행정구역으로 이어져 오고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다른 지역들이 시대에 따라 이름이 크게 바뀌거나 새로운 한자가 적용된 경우가 많았던 것과 달리, 함양은 ‘함양’이라는 이름을 일관되게 유지했다는 점입니다. 이는 지역 정체성이 강하게 반영된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함양은 지명 변천에서 큰 변화를 겪지 않았다는 점에서 안정성을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인근 거창은 본래 ‘고제현(古堤縣)’으로 불리다가 고려시대 ‘거창(居昌)’으로 바뀌었으며, 산청은 ‘단성(丹城)’이라는 이름을 거쳐 오늘날의 지명으로 정착했습니다. 이와 달리 함양은 신라 이후로 지금까지 ‘함양’이라는 이름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며 전통성을 이어왔습니다. 이는 행정적 편제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민들에게 ‘함양’이라는 이름이 뿌리 깊은 상징성과 친밀감을 갖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또한 함양은 지리산과 덕유산의 산세와 맞닿아 있어 예로부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땅’으로 여겨졌는데, 이는 지명의 어원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즉, 함양의 지명은 자연환경, 생활문화, 그리고 역사적 맥락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입니다.
농산물과 음식문화 (향토음식 중심)
함양은 기후와 토양 조건이 좋아 곡물, 채소, 과일 등 다양한 농산물이 풍성하게 생산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특산물은 함양 밤으로, 당도가 높고 알이 굵어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습니다. 또한 함양 고을마다 넓은 들판에서 재배되는 쌀과 보리, 콩은 예로부터 함양 전통밥상의 주식이 되었습니다. 지리산 자락에서 나는 산나물과 약초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곰취, 취나물, 두릅, 고사리 같은 나물류는 봄철 별미로 사랑받았으며, 이를 말려 겨울철 반찬으로도 활용했습니다. 약초는 차로 마시거나 약재로 사용되었는데, 특히 함양은 예부터 약초 고장으로 불릴 만큼 풍부한 자원을 자랑합니다. 또한 함양은 사과, 배 등 과일 재배도 활발해 지역민들의 식탁을 풍요롭게 했습니다. 최근에는 친환경 농업과 유기농 재배가 활성화되면서 함양 농산물은 건강한 먹거리로 더욱 각광받고 있습니다. 함양 향토음식은 자연에서 얻은 재료를 그대로 살린 담백함이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음식은 함양 곰취밥입니다. 지리산 곰취를 삶아 밥과 함께 비벼 먹는 음식으로, 곰취 특유의 쌉싸름한 맛이 입맛을 돋웁니다. 또한 밤 요리는 함양을 대표하는 음식 문화 중 하나입니다. 밤밥, 밤묵, 밤떡 등 다양한 요리가 있으며, 특히 밤묵은 밤을 갈아 만든 독특한 별미로 여행객들에게도 인기입니다. 콩을 활용한 음식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함양은 직접 띄운 메주와 된장, 청국장이 유명하며, 구수한 장맛은 지역의 자랑거리입니다. 이외에도 산나물과 콩나물로 만든 나물무침, 곡물과 채소를 곁들인 국과 찌개는 소박하면서도 건강한 함양 밥상의 기본이 되었습니다. 특히 함양의 향토음식은 화려하지 않지만, 자연의 맛을 그대로 살려 ‘건강한 음식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함양의 음식문화는 단순히 먹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공동체적 삶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명절이나 제사상에는 반드시 지역 농산물로 만든 음식이 올랐으며, 이웃과 나누는 ‘음식 문화’가 생활 속에 뿌리내렸습니다. 예를 들어, 추석에는 함양 밤과 햅쌀로 만든 송편이 대표적인 음식이었고, 설날에는 직접 빚은 떡국과 콩나물국이 빠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농번기에는 힘든 일을 함께한 뒤 산나물 비빔밥이나 된장찌개를 나누며 공동체 정신을 다졌습니다. 오늘날에도 함양은 ‘함양산삼축제’나 ‘밤 축제’와 같은 지역 행사를 통해 농산물과 향토음식을 알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축제는 지역 경제뿐만 아니라 전통 음식문화를 이어가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고 있습니다.
힐링명소 (관광, 여행지 추천)
지리산 칠선계곡, 청정 자연의 상징 - 함양을 대표하는 힐링명소는 단연 지리산 칠선계곡입니다. ‘한국 3대 계곡’ 중 하나로 꼽히는 이곳은 원시림과 암석, 맑은 물이 어우러져 장관을 이룹니다. 계곡을 따라 이어진 탐방로는 여름철 피서지로 인기가 높고, 가을에는 단풍이 절경을 이루어 사계절 모두 아름다운 풍경을 만날 수 있습니다. 칠선계곡은 지리산의 깊은 품 안에서 자연 그대로의 청정함을 느낄 수 있는 곳으로, 등산객과 트레킹 여행자 모두에게 추천되는 장소입니다. 특히 폭포와 소(沼)가 이어지는 구간은 힐링과 더불어 모험심까지 자극하는 매력이 있습니다. 상림공원, 천년 숲길의 휴식 - 함양 도심에 자리한 상림공원은 천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인공 숲으로, 신라 진성여왕 때 조성된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림입니다. 현재는 시민과 여행자 모두에게 사랑받는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공원에는 수령이 오래된 느티나무와 팽나무, 참나무가 울창하게 들어서 있으며, 사계절 내내 다양한 풍경을 선사합니다. 봄에는 벚꽃길이 아름답고, 여름에는 푸르른 숲이 그늘을 드리우며, 가을에는 단풍이 절정을 이루고, 겨울에는 고즈넉한 설경이 매력을 더합니다. 상림공원은 산책로와 연못, 체험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특히 인기가 많습니다. 도시의 소음을 벗어나 숲길을 거닐며 자연과 함께하는 휴식을 즐기기에 더없이 좋은 곳입니다. 용추계곡과 오도재, 감성 드라이브 명소 - 함양의 또 다른 대표적인 관광지는 용추계곡입니다. 시원한 물줄기와 기암괴석이 어우러져 여름철 휴양지로 손꼽히며, 맑고 차가운 계곡물은 더위를 식히기에 제격입니다. 용추계곡 주변에는 캠핑장과 펜션 등 숙박 시설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 여행지로도 안성맞춤입니다. 또한 오도재 전망대는 드라이브 여행자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산길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지는 도로를 오르면 정상에서 함양 시내와 주변 산세가 한눈에 들어오는데, 특히 해질녘 풍경이 일품입니다. 사진 촬영 명소로도 유명해 젊은 여행객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함양은 지리산 둘레길, 산삼 자생지 등 체험과 힐링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장소가 많아 여행 코스에 다양하게 포함할 수 있습니다. 경남 속 함양은 지리산 칠선계곡의 웅장한 자연, 상림공원의 천년 숲길, 용추계곡과 오도재의 감성 풍경 등 다양한 힐링명소를 품고 있는 고장입니다. 가족, 연인, 친구와 함께 떠나기에 모두 적합한 여행지로, 자연과 문화,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이번 주말, 함양의 아름다운 명소를 찾아 일상의 피로를 풀고 진정한 힐링을 경험해 보시길 권합니다.